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기들로 구축된다. 어떤 네트워크 기기들이 있으며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겠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질 것이다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
네트워크 기기가 처리할 수 있는 범위는 계층별로 나눌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전송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등이 있다. 상위 계층의 네트워크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로는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 애플리케이션 계층 처리 기기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L7 스위치가 있다.
L7 스위치
로드밸런서로 불리기도 하는데,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주는 기기이다.
-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을 뒤쪽의 서버로 나누는 역할을 해준다.
- 불필요한 데이터를 걸러주는 걸러며 에러를 감지하는 모니터링 역할을 해준다.
- URL, 서버, 캐시, 쿠기들을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처리를 한다.
| 전송 계층 처리 기기
전송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L4 스위치가 있다.
L4스위치
L7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로드밸런서이다.
- 메세지를 기반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IP와 포트를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처리를 한다.
| 인터넷 계층 처리 기기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라우터, L3 스위치가 있다.
라우터 (Router)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장치들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 패킷을 최적의 경로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L3 스위치
L2 스위치의 기능과 라우터의 기능을 갖춘 기기이다.
|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L2 스위치와 브리지가 있다.
L2 스위치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로 관리한다. 연결된 장치로부터 패킷이 왔을 때 전송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브리지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LAN 등을 하나의 통신망으로 구축하고 확장할 때 쓰인다.
| 물리 게층을 처리하는 기기
물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NIC, 리피터, AP가 있다.
- NIC (Network Interface Card)
LAN 카드라고 불리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이다.
네트워크와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부에 장착되는 카드이다.
LAN 카드에는 고유식별번호인 MAC가 있다.
- 리피터 (Repeater)
들어오는 약한 신호를 증폭시켜 다른 쪽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 AP (Access Point)
패킷을 복사하는 기기이다. 유선 LAN 신호를 무선 LAN 신호로 변환하여 다른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발전 과정] (0) | 2023.01.06 |
---|---|
[IP 주소 이해] (0) | 2023.01.06 |
[TCP/IP 4계층 모델] (0) | 2023.01.05 |
[네트워크 기초] (0) | 2023.01.05 |